1. 목판본 인쇄의 제작 과정
- 원고 작성 – 학자나 관청에서 작성한 원고를 필사본 형태로 준비
- 글씨 쓰기 – 서예가가 거꾸로 글씨를 써 목판에 옮김
- 각수 작업 – 목판 장인이 글씨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를 파내는 음각 작업
- 인쇄 – 목판에 먹을 바르고 한지에 눌러 찍어냄
- 제본 – 인쇄된 종이를 접어 실로 꿰매어 책으로 완성
2. 기술적 특징
조선 목판본은 종이의 질, 글씨체, 먹의 농도, 판각 깊이에서 고유한 특징을 가집니다. 특히 한지는 섬유질이 길고 질겨 오래 보존되며, 판각은 얕고 정밀해 글씨의 획이 살아 있습니다. 또 판면의 균형과 여백 배치는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동시에 고려했습니다.
3. 목판본의 장점과 한계
목판본의 장점은 한 번 판각하면 수백 부를 찍어낼 수 있고, 내용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수정이 어렵고, 판이 마모되면 재각(再刻)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조선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자 인쇄와 병행하는 방식이 발전했습니다.
4. 대표적인 조선 목판본
- 팔만대장경 – 고려 말 제작되었으나 조선에서 보존·활용
- 동의보감 – 허준의 의서를 목판으로 다수 인쇄
- 훈민정음 해례본 – 목판본 형태로 간행된 최초의 한글 해설서

5. 보존과 전시
현재 많은 조선 목판본이 국내외 박물관과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습도와 온도 조절, 해충 방지가 필수이며, 일부는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으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실 – 주요 목판본 소장
- 해인사 장경판전 – 팔만대장경 원판 보존
- 국립한글박물관 – 훈민정음 관련 목판본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