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만큼 유명하지 않은 신라 왕릉 괘릉

경주는 신라 천년의 수도답게 수많은 왕릉과 무덤이 남아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은 천마총이나 대릉원 일대의 화려한 고분들일 겁니다. 하지만 경주 동남쪽에 자리한 괘릉(掛陵), 즉 신라 애장왕릉은 상대적으로 덜 유명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괘릉은 독특한 석조 조각과 아름다운 배치 덕분에 신라 왕릉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문화유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신라 애장왕과 괘릉의 역사 괘릉은 신라 제40대 … 더 읽기

아차산 보루군 고구려의 한강 방어 유적

서울과 구리 일대에 위치한 아차산은 한강을 굽어볼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손꼽힙니다. 고구려는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이곳에 보루(작은 성곽)를 연이어 건설했습니다. 오늘날 ‘아차산 보루군’이라 불리는 이 유적은 고구려가 한반도 남쪽 지역까지 진출해 한강 유역을 확보했던 흔적을 보여주는 장소입니다. 아차산 보루군은 단일 보루가 아니라, 아차산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보루가 띠처럼 길게 늘어서 있는 모양입니다. 이들은 … 더 읽기

조선 후기 농업 기술의 발전과 사회 변화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농업을 나라 경제의 기본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인구가 늘고 도시가 성장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농업 생산 방식을 고민하게 됩니다. 특히 17세기 이후 전쟁과 기근을 겪은 조선 사회는 안정된 식량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화두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조선 후기에는 새로운 농업 기술과 농법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도입을 시도하였습니다. 농업 기술의 주요 발전 이앙법(移秧法)의 … 더 읽기

조선 후기 상업 발달과 시전 상인의 변화

조선 전기는 농업 중심의 경제 체제가 확고했지만, 후기로 갈수록 상품 화폐 경제가 크게 성장했습니다. 인구 증가와 교통망 확충, 그리고 도시의 발달은 자연스럽게 상업 활동을 활성화 시킵니다. 한양뿐 아니라 지방의 시장도 활발해졌고, 화폐 유통과 공인(貢人) 제도의 변화가 상업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쌀·포목·소금·인삼 등 주요 상품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유통망이 만들어졌고, 일부 상인은 엄청난 큰 상인으로 … 더 읽기

정조와 문체반정, 학문 통제의 명암

화성행궁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1752~1800)는 개혁을 시도한 왕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학문과 문학에 대한 강력한 통제 정책도 펼쳤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문체반정(文體反正)입니다. 문체반정이란 정조가 즉위 후 시행한 학문 정책으로, 당시 문인들이 유행처럼 사용하던 자유분방하고 화려한 문체를 억제시키고, 성리학적 도덕과 전통에 부합하는 정통 문체를 따르도록 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학문을 바로잡는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정조는 문체의 … 더 읽기

정조의 화성행차와 백성들과의 소통

조선 제22대 왕 정조(1752~1800)는 개혁적인 행보를 한 왕으로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1794년 수원 화성을 건설하고, 이듬해부터 여러 차례 화성행차(華城行次)를 실행했습니다. 화성행차는 단순한 왕의 이동이 아니라, 백성과 직접 소통하는 정치적 행사로 보일 수 있습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참배하는 동시에, 지방의 민심을 살피고 새로운 정치 이념을 알리는 장으로 활용했습니다. 특히 군사 … 더 읽기

수원 화성 건축의 과학과 미학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수원 화성은 조선 22대 임금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화성으로 옮기며 건설한 계획도시의 중심 성곽입니다. 1794년부터 1796년까지 약 2년 9개월이라는 매우 짧은 기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화성은 단순한 방어 시설을 넘어, 정치적 이상과 과학적 성과, 그리고 예술적 아름다움이 결합된 조선 후기 대표 문화유산으로 평가됩니다. 건축에 담긴 과학적 혁신 수원 … 더 읽기

박제가·이덕무·유득공, 규장각 학자들의 활동과 문화유산

장릉

조선 후기, 정조는 왕권을 강화하고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1776년 왕위에 오르자마자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했습니다. 규장각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학문 연구와 정책 자문을 맡은 국가 핵심 기관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곳에서 활동한 젊은 학자들은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으로 불렸고, 이들이 바로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과 같은 유능한 인물들입니다. 박제가 – 북학파의 실천적 개혁가 박제가(1750~1805)는 대표적인 북학파 실학자로, 『북학의』를 … 더 읽기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개혁 사상과 유산

수원화성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실학자 정약용(1762~1836)은 ‘다산(茶山)’이라는 호와 함께 ‘다산 정약용’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정치가이자 학자, 사상가로서 그 시대의 모순을 비판하고 백성을 위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강조했습니다. 단순히 책 속의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회 제도와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 그의 업적 중 가장 큰 부분입니다. 개혁 사상의 핵심 정약용의 개혁 사상은 … 더 읽기

영조와 정조 시대의 서원 정리 정책과 서원 유적지

조선시대의 서원은 지방 사림이 공부하고 제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습니다. 본래 성리학적 학문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순수한 목적에서 출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서원들이 특권을 누리고 지역 세력의 기반으로 작용하며 부작용이 심해졌습니다. 영조의 서원 정리 정책 18세기 중반 즉위한 영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서원의 부작용으로 인해 많은 서원을 정리하고자 했습니다. 서원이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백성의 부담이 늘고,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