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행차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일 만큼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행사였습니다.
백성들과의 직접 만남: 정조는 행렬 중간중간 백성들의 의견을 듣고,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겠다는 약속을 합니다. 이는 군주가 높은 성벽 뒤에만 머물지 않고, 백성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정치를 보여준 의미있는 사례입니다.
행사와 잔치: 화성행차 기간 동안 백성을 위한 잔치와 공연이 열려, 단순한 왕의 순행이 아니라 축제가 열렸습니다. 이를 통해 백성들은 군주의 관심과 사랑을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개혁 정신의 실현: 정조는 화성행차를 통해 자신의 개혁 구상을 알리고, 백성들의 신뢰를 얻으려 했습니다. 이는 조선 후기 민본주의 정치를 실현한 대표적인 사실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성행차는 정조가 꿈꾸던 새로운 정치의 상징이었고, 당시 기록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에 정리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책은 행렬의 규모, 행사 절차, 백성과의 의견을 나누는 모습까지 자세하게 기록하여, 오늘날에도 중요한 역사 자료로 활용됩니다.
특히 이 의궤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정조의 행차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조선 후기 문화를 대표하는 사건이었음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수원과 화성 지역에는 정조의 화성행차와 관련된 유적과 명소가 남아 있습니다.
수원 화성: 정조의 정치적 이상이 담긴 성곽으로, 행차의 주요 장소였습니다. 장안문·팔달문·서장대 등 주요 시설을 걸으며 당시의 행렬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화성행궁: 정조가 행차 시 머물렀던 궁궐로, 현재 복원되어 방문객들이 당시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도 열리고 있습니다.
융릉(사도세자 묘): 정조가 행차의 목적지로 삼았던 곳으로, 아버지에 대한 효심과 정치적 메시지가 함께 담긴 장소입니다.
『원행을묘정리의궤』 전시관: 수원박물관에서는 화성행차 관련 기록과 유물을 전시하여, 정조의 행차가 지닌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조의 화성행차는 단순한 왕의 행렬이 아니라, 백성과 소통하고 개혁 의지를 드러낸 역사적 사건으로 꼽습니다. 오늘날 수원 화성과 화성행궁, 융릉을 직접 방문하면 정조가 꿈꾸었던 삶, 백성과 가까운 정치, 그리고 화성행차의 축제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습니다.